테라포밍 마스는 화성을 개발하는 보드게임입니다. 각 플레이어는 기업이 되어 개발에 참가, 보다 많은 공헌을 한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승리합니다.
테라포밍 마스에 대해서
헥스가 그려진 게임판과 자원을 관리하는 개인판이 있습니다. 게임판는 헥스에 타일을 놓을 뿐만 아니라, 산소나 기온 트랙도 있습니다. 산소와 기온은 모든 플레이어에게 공통사항이기 때문에 협력하는 면도 있습니다.
우선, 자신이 어느 회사를 담당할지를 선택합니다. 그것에 따라 초기 자원이 달라집니다. 또한, 초기 손패로써 10장의 카드가 주어집니다. 기본 규칙으로는 10장 모두 가지고 가지만, 변형 규칙에서는 남길 장수에 따라 비용이 필요하게 됩니다.
차례가 되면 1개, 또는 2개의 액션을 진행합니다.
차례에 할 수 있는 일은, 아래 7종류입니다.
a. 카드를 1장 플레이
카드에는 플레이하기 위한 비용과 조건이 있습니다. 즉시 효과를 얻는 것과 지속 효과가 있는 것, 다른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하는 것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b. 기본 프로젝트 실행
보드에 그려진 6종류 중 어느 한 기본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프로젝트는 기온을 올리거나, 바다 타일이나 녹지 타일을 배치합니다.
c. 마일스톤 획득
조건을 만족시켰다면 선택할 수 있습니다. 획득하면 게임 종료 시 점수를 얻습니다.
d. 어워드에 투자
게임 종료 시 획득할 수 있는 보너스를 선택합니다. 어워드에는 가장 많은 타일을 플레이한, 가장 많은 열 자원을 가지고 있는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e. 파랑 카드 사용
플레이한 카드에 그려진 액션을 실행합니다.
f. 녹화
8 나무 자원을 지불하고, 녹지 타일을 보드에 배치합니다.
g. 기온 상승
8 열 자원을 지불하고, 기온 트랙을 1칸 전진시킵니다.
h. 패스
한 번 패스하면, 그 라운드에서는 더 이상 액션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것을 모든 플레이어가 패스할 때까지 반복합니다.
게임 종료 조건은 일정 라운드 수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3가지 조건이 달성되면 종료 처리를 진행합니다.
- 산소 마커가 최대까지 도달한다.
- 기온 마커가 최대까지 도달한다.
- 바다 타일이 9개 모두 배치되었다.
이 3가지가 만족했다면 게임 종료입니다.
어워드, 마일스톤, 녹지 타일, 도시 타일, 카드 승점을 합산하여 가장 승점이 많은 플레이어가 승리합니다.
각종 다양한 카드를 사용하여 화성 개발
카드가 200종류 이상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손패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꽤 시간이 걸립니다. 초기 손패가 10장이 있으며, 여기에 매 라운드 4장을 뽑기 때문에 상당한 장수의 카드 효과를 읽어야 합니다.
변형 규칙에서는 매 라운드 그 4장을 드래프트하기 때문에, 시간도 걸립니다.
이번에는 4명 모두가 첫 플레이였습니다만, 모든 카드를 사용했습니다. (카드 중에는 경험자를 위한 카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반 규칙에서는 초기에 건네받은 회사 카드 2장 중 1장을 선택합니다만, 가능하면 어느 카드가 있는지 보고 싶다는 생각에 3장 중에서 1장을 고르기로 했습니다.
장수에서 알 수 있듯이, 카드게임 요소가 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기 어려운 아이콘이 있어서 게임 진행을 방해합니다.
그리고 세세한 처리가 많습니다만, (예를 들어, 바다 타일에 인접하게 타일을 놓으면 바다 타일 1개마다 2원을 얻는다, 도시 타일은 게임 종료 시에 인접한 녹지 타일 1개당 1승점이 된다, 녹화나 기온 상승을 하면 TR 트랙이 상승한다 등) 게임판에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깜빡하기 쉽습니다.
좀 더 게임판에 정보를 넣거나 적어도 요약 카드 같은 것이 없으면 모든 규칙을 파악하는 것이 상당히 힘듭니다. 최근 게임들은 할 수 있는 액션이 게임판이나 개인판에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꽤 고민해서 만들었구나를 실감합니다.
물론 익숙해지면 좋을 뿐이지만, 첫 플레이에는 꽤 손이 갑니다.
이번에는 규칙 설명부터 시작해서 게임 종료까지 4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카드를 파악할 수 있으면 시간이 더 단축되겠지만, 200종류 이상 있기 때문에 상당히 많이 플레이하지 않으면 좀처럼 쉽진 않을 것 같습니다.
게임 자체는 재미있지만, 여러모로 아쉽다는 느낌을 주는 게임입니다. 이 부분이 개선되면 더 즐기기 쉬울 것 같네요. 텍스트 효과가 가득한 게임을 좋아하는 분들께 추천하는 게임입니다. 다만, 카드에 따라 직접 개인공격을 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취향을 탈 것 같습니다.
'보드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드게임] 그레이트 웨스턴 트레일(Great Western Trail) 소개 (0) | 2022.05.07 |
---|---|
[보드게임] 상트 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 소개 (0) | 2022.05.07 |
[보드게임] 울름(Ulm) 소개 (0) | 2022.05.06 |
[보드게임] 국부론(Wealth of Nations) 소개 (0) | 2022.05.05 |
[보드게임] 아르카넘(Arcanum) 소개 (0) | 2022.05.04 |